◎오적산(五積散)

▲처 방
   창출 7.5g, 마황·진피 각 3.75g, 후박·길경·지각·당귀·건강·백작약·백복령 각 3g, 천궁·백지·반하·계피 각 2.625g, 감초 2.25g, 생강3 조각, 총백 3개 

▲목 표

  본방은 풍한의 외감에 감촉되어 두통·신통·사지 궐냉·흉복작통(胸服作痛)혹은 생냉물(生冷物)에 의하여 내상이 되어 구토·설사를 하는 경우와 월경불순 등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안색이 창백하고 요고하복부(腰股下腹部)의 궐냉통(厥冷痛)·상반신에는 열감(熱感)이 있고 하반신에는 냉감(冷感)이 있으며 복부는 일반적으로 연약하면서 심하부(心下部)는 딱딱하나 맥상은 침(沈)한 경우도 목표로 한다. 그리고 특히 유의할 점은, 본방은 유열성(有熱性)인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검이다.

▲용도 및 적응증
   냉증·구토·설사·복통·위염·위경련·산증(疝症)·대하증·신경통·심장병·갱년기 장애·각기병·월경불순·경폐(經閉) 등증과 외감에 의한 발열·두통·무한·신통(身痛)·경항배구급(頸項背拘急)·흉만 등 증에 쓴다. 그리고 타박상·요통 등증에도 쓴다.

▲약리 작용
   1)창출……건위·발한·제습 등의 작용을 한다.

   2)마황……발한·진해(鎭咳) 작용을 한다.

   3)진피……소담·건위·소하 등의 작용을 한다.
   4)후박……건위·소도(消導)·하기(下氣) 등의 작용을 한다.
   5)길경……진해·거담·해열· 통격(通隔)등의 작용을 한다.

   6)지각……하기 건위·소도 등의 작용을 한다.
   7)당귀·청궁·백작약……생혈·보혈·행혈 등의 작용을 한다.

   8)건강……발한·온위·건위·진구(鎭제습 등의 작용을 한다.
   9)생강……건위·발한·진구 등의 작용을 한다嘔) 등의 작용을 한다.
 10)백지……지통(止痛)·소염·윤장(潤腸)등의 작용을 한다.
 11)반하……거담·진구·소도 등의 작용을 한다.
 12)계지……말초 부위에까지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준다.
 13)감초……교미·완화·건위·약효 강화 등의 작용을 한다.
 14)생강…… 건위·진구·발한 등의 작용을 한다.
 15)총(파뿌리)……발한 작용을 한다.
      ※발한제 : 창출·마황·계지·길경·생강
      ※건위·온위제 : 후박·길경·진피·건강·백복령·백지·감초
      ※보간제(補肝劑) : 당귀·백작약·천궁

 ▲ 해 설
  1)본방 속의 창출·진피·후박·감초 등은 평위산(平胃散)으로서, 싫증성으로 수반되는 급성 위염 또는 만성위염에도 쓴다.
  2)본방 속의 진피·백복령·반하·감초 등은 이진탕(二陳湯)으로서, 체내의 담음(痰飮)을 제거시키는 장용을 해 준다.
  3)본방 속의 당귀·백작약·천궁 등은 사물(四物)제로서, 생혈·보혈·행혈 등의 작용을 한다.
  4)본방 속의 백작약·건강·계지·감초 등은 계지탕(桂枝湯)의 재료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쓴다.
     가)두통·오풍·신체 경미통(經微痛)·자한(自汗)·맥부완(脈浮緩) 등증이 있는 경우
     나)발열의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발열과 오풍증이 계속되면서 맥이 부약(浮弱)한 경우
     다)발한제를 사용한 후에 발한은 되었어도 오풍증이 계속되면서 맥이 부약한 경우
     라)감기·두통·발열·오풍·발한과다·한냉성복·건구역·신경통·류마티스 등증의 경우
   5)본방은 기·혈·담·음·식(氣, 血, 痰, 飮, 食)등의 오적(五積)을 치료한다고 해서 오적산(五積散)이라고 한다.
   6)본방은 고열성 질환에는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 응 용
   1)외감협내상(正感挾內傷)에는 사삼·신국초·빈랑 각 3.75g을 가한다.
   2)해소에는 행인·상백피 각 3.75g을 가한다.
   3)한사(寒邪)와 생육(生肉)에 체(滯)를 하였을 때 심한 복통과 수족 궐냉이 있을 경우에는 건강·계지의 양을 두배로 한다.
   4)풍비(風痺)에는 강활·독활·방풍 각 3.75g을 가한다.
   5)사지 결련에는 빈랑·목과·우슬 각 3.75g을 가한다.
   6)하지 부종(下肢浮腫)에는 대복피(大腹皮) 3.75g을 가한다.
   7)반신통(半身痛)에는 세신·유향(乳香)·몰약 각 1.875~3.75g을 가미해서 쓴다.
   8)좌우 요부(腰部)의 강급(强急)에는 전갈(全竭)·방풍 각 1.875~3.75g을 가한다.
   9)요통에는 두충초(杜沖炒)·속단(續斷)·우슬·소회향(小茴香) 각 3.75g을 가한다.
 10)회충에는 오매(烏梅)·천초(川椒) 각 3.75g을 가한다.
 11)한습사(寒濕邪)가 경락(經絡)을 범한 요각산통(腰脚酸痛)에는 두충소·우슬·속단·방풍 각 3.75g을 가미해서 쓴다.
 12)허증성 체질자의 학질에는 시호·초과·황금·빈랑 각 3.75g을 가한다.
 13)풍한습(風寒濕)이 견갑부(肩胛部)와 상지(上肢)를 범하여 혹통혹마(或痛或麻)가 있을 때는 강활·방풍·전갈 각 3.75g을 가한다.
 14)허증성 체질자에 한사(寒邪)가 범하여 사지 관절통이 있을 경우에는 강활·독활·천산갑초(穿山甲炒) 각 3.75g을 가한다.
 15)한사에 의한 견비통(肩臂痛)에는 초오제(草烏製) 1.125g을 가한다.
 16)풍습이 유주(流住)되어 양각산통(兩脚酸痛)이 있을 경우에는 방풍·강활·독활·오약·빈랑·목향 각 3.75g을 가한다.
 17)소복산통(小腹疝痛)에는 사삼·소희향·천련자(川練子) 각 3.75g을 가한다.
 18)좌섬(挫閃) 및 어혈 종통(瘀血腫痛)에는 마황을 빼고 소희향·빈랑·도인·홍화 각 3.75g을 가한다.
 19)허한(虛寒)에 의한 대하증에는 향부자초·오수유·소회향(小茴香) 각 3.75g을 가한다.
 20)월경 때 지체(肢體)가 마비 또는 통증을 느끼면서 두통·한열·현훈 등증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건강(乾薑)을 빼고 강활(羌活)·독활(獨活)·우슬(牛膝) 각 3.75g을 가한다.
 21)태아는 자궁 속에서 죽어 있고 산모는 기혈이 쇠약하여 최산(催産)할 힘이 없으며 복통·사지·궐냉 등증이 있을 경우에는 마황(麻黃)을 빼고 부자포(附子炮)·천오포(川烏炮) 각 1.875g, 남성(南星)·목향(木香)·사인초연(砂仁炒硏)·아교주(阿膠珠) 각 3.75g을 가한다.
 22)산후 소화 불량과 어혈(瘀血) 복통이 있을 경우에는 마황을 빼고 산사 7.5g을 현호색(玄胡索) 3.75g을 가한다.
 23)수족이 냉하면서도 도한(盜汗)이 있을 경우에는 부자포 1.875g을 가미해서 쓴다.
 24)월경 불순에는 애엽(艾葉) 3.75g을 가한다.
 25)발한이 심한 경우에는 마황·창출을 뺀다.
 26)원기 허약자에게는 지각·길경을 빼고 인삼·백출을 3.75g을 가미한다.
 27)복통이 심할 경우에는 오수유 1.875~3.75g을 가한다.